파리의 한국아줌마

프랑스어 호칭이 한국인에게 불러일으킨 오해

파리아줌마 2011. 8. 5. 07:22

결혼 18년차인 저는 한국인들에게 큰아이 이름을 붙여 <누구엄마>로

자주 불리웁니다. 이는 한국인들 사이에서는 당연하고

자연스러운것입니다. 그런데 저의 실명을 불러주면 친근하게

느껴지면서 기분이 더 좋더군요. 여자가 결혼을 하고 나면 은근

정체성이 희석되면서 남편 혹은 아이 위주로만 되어가는것 같습니다. 

삶 자체가 그럴수밖에 없습니다.

 

우리나라는 여자가 결혼을 해도 성이 바뀌지 않습니다. 그런데 서양에서는

남자의 성을 따라가게 되지요. 일종의 관습인데, 왜 여자의 처녀적 성이

결혼하고 나서 효력을 발휘하지 못할까 불만스러웠던적이 있습니다.

 

무슨 이유 때문인지 세상은 오래전부터 남성위주로 움직이고 있습니다.

프랑스어 명사 단어들은 남성과 여성으로 구분되어있습니다.

보통 남성, 여성이 섞인 복수일 경우 원칙적으로 남성 복수로 쓰여지게 되어 있습니다.

남여평등을 외치고자 했던것은 아니었는데 어쩌다 글이 의도하지 않은 방향으로 흐르고 있는듯합니다.

 

각설하고,, 프랑스도 결혼하고 나면 남자의 성을 따라갑니다.

그리고 <마담, madame>이라는 호칭이 붙지요. 오늘 제가 이야기하고 싶은던게, 요, <마담>입니다.

프랑스에서는 왠만한 아가씨들에게도 <마드무와젤>이라는 호칭보다는 <마담>을 많이 사용하더라고요.

 

한국말로 하자면 <아줌마>인, 이 마담을 어른 아이 불문하고 여성들에게 사용합니다. 특히 어린 아이들이

저에게 <마담>하고 부르며 말을 걸어오면 기분이 야릇해집니다. 어떻게 보면 너무 정중해보여 대견스럽기도

하고, 어찌보면 다소 건방져 보이기도 합니다.

 

프랑스에서 여자 어른들에게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마담>이 한국에서는 좀 다른 의미로 쓰입니다. 알고보니 한국에서 사용하는 말들중 불어가 더러 있더라고요. 마담은 누가 먼저 사용했는지 모르겠지만 룸싸롱의 여주인을 가르키는 말이 되었고, 예전 공원 같은데 쌍쌍으로 어울려 있는 연인들을 보고는 아베크족이라고 했습니다.

아베크는 불어로, avec, [함께] 라는 뜻의 전치사입니다. 그외에도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물건너 온 외래어가 가지는 사회적인 인식은 본연의 의미를 벗어버렸습니다. 하지만 아무렴 어떻습니까..

사회 구성원들이 암묵적으로 정한 약속도 중요합니다.  

 

 <마담 정>과 <정 마담>의 차이?

 

남편의 성이 정씨이기에 저는 보통 이곳에서 <마담 정>으로 불립니다. 행정 서류들이 제 이름에다가 남편 성으로 표기되어 있으니 처음에는 좀 이상하더군요, 하지만 금방 익숙해졌습니다. 그리고 이곳에 거주하고 있는 한국인들 사이에서는 주로 마담이라는 호칭을 많이 사용합니다. 이름 불러주어도 좋을텐데 마치 약속이나 한것처럼

<마담 김>, <마담 정>으로 통하곤 합니다.

 

그런데 마담이라는 호칭이 익숙하지 않은 한국에 계신 분들 사이에서 쓰려니 한국에서 통상적으로 쓰이는 마담이라는 의미와 혼동되는일이 있었습니다.  

 

90년대 초반에 한국 수의사들이 프랑스 기관들을 방문하는데 통역을 한적이 있었습니다. 전국 각지역의 수의사들이 모여서 프랑스는 어떻게 동물 전염병을 예방하는지 등을 알아보는것이었는데, 당연히 저를 <마담 정>으로 소개했습니다. 며칠을 함께 했던것 같습니다. 그런데 어느날 정겨운 경상도 사투리를 쓰시던 어떤 수의사분이 급기야 저를 <정 마담, 정 마담>하고 부르더군요. 분명 <마담 정>이라고 했음에도 불구하고요. 옆에 있던 다른 수의사들은 키득거리며 웃고 있었습니다. 생속이었던 20대 새댁이었던때라 좀 곤란스럽기는 했지만 저도 웃을수밖에 없는 상황이었습니다. 그리고 고쳐 불러달라고 할 분위기도 아닌것 같아 그때는 그냥 <정 마담>이 되었습니다. 성을 앞에 붙이느냐, 뒤쪽에 붙이느냐에 따라 의미가 참으로 크게 달라지는 <마담>이라는 호칭입니다.

 

어떤 분에게 들은 <마담>이라는 호칭에 얽힌 일화가 있습니다.

이곳에서 함께 지냈던 한국분들이 한국에 가서 만났답니다. 파리 생활의 그리움을 이야기하며 반가운 마음에 함께 차를 몰고 소풍을 갔다가 그만 돌아오는 길에 사고가 났답니다. 다행히 큰 사고는 아니었는데 주위에 사람들이 모여들었다고 합니다. 사고를 빨리 수습해야되는 다급한 상황에서 이분은 파리에서 불리는 호칭으로 선두지휘를 했다고 합니다. <마담 리는 무엇을 하고, 마담 박은 이렇게 하고, 마담 최는 어떠어떠하게 해라>하고 보니, 모여있던 사람들 눈이 휘둥그래져 있더랍니다. 룸싸롱 마담들이 모여 여행온줄 알았나 보더라고요.

 

룸싸롱 마담들에 대한 편견을 가지고 있는것은 아닙니다. 오해하지 않으셨으면 좋겠고요. 한국인들이 프랑스에 살면서 언어의 차이로 인해 좌충우돌했던 일화중 하나로 받아 들여주셨으면 감사하겠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글이 마음에 드신다면 손가락 모양의 추천을 눌러주세요. 로그인 필요없답니다.^^